국민인! 국민인!!
‘정림학생건축상’ 대상 수상 / 이연호, 하동균(건축학부 11) | |||
---|---|---|---|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이연호, 하동균(11학번) 학생의 건축디자인 작품이 <정림학생건축상> 대상을 수상하였다. <정림학생건축상>은 매년 건축가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심사위원단을 구성하고, 현실과 긴밀히 연결된 '근미래 대한민국의 도시와 건축'을 주제로 그려보는 것을 기본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재난건축’이라는 다소 심도있는 주제가 제시되어 재난 상황 시의 건축의 사회적 역할이라는 인문·사회적 개념까지 깊이 다뤄야 했기 때문에 접근하기가 다소 난해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수상한 작품 <삶의 언덕 : 모래, 바람, 초원으로부터>는 재난 상황에서 요구되는 사회적 환경을 구축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특히 몽골의 사막화 재앙 속에서 건축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인문학적인 분석과 제안을 하였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연호 학생은 “평소 인문학·사회과학 등 여러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책을 읽은 것이 큰 도움이 되었다. 포기하지 않고 긍정적인 마음가짐으로 준비한 공모전이 좋은 결실을 맺어 무척 기쁘다. 앞으로도 건축뿐 아니라 외국어 및 사회현상,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를 공부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Q. 이번 공모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특히 올해는 재난건축이라는 다소 심도 있는 주제로 건축가 조남호 씨 뿐 아니라 인문학자인 문강형준 씨께서 공동 심사위원을 역임하게 되면서, 재난 상황 시의 건축의 사회적 역할이라는 인문사회적 역할까지 깊이 다뤄야 했기 때문에 매우 까다로운 공모전이었습니다.
Q. 재난건축이라는 말이 생소할 수 있는데,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모두가 잘못 주지하듯, 건축가가 벽을 세우고 창문을 내고 새로 짓고 하는 일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드라마에 나오듯 으리으리한 건물을 지으면서 돈 잘 버는 이미지는 더더욱 아니구요. 오늘날 건축가는 이러한 시대착오적 관념에서 벗어나 건축-인간의 소통의 중개자가 되어야 합니다. 건축가는 시대를 짓는 사람들이라고도 하지요. 우리 인간이 상황에 따라 요구하는 물리적 건조 환경뿐 아니라 사회적 환경까지 빚는 것이 건축가의 역할입니다. 저희 생각에 이번 <재난 건축>의 주제 핵심은 이 사회적 환경 구축에 의의가 있었습니다. 재난 상황 이후의 커뮤니티, 삶의 회복에 대해 깊에 사유하라고 요구하는 공모전이었습니다. 저희 역시 기존의 건축공모전에서 간과하기 쉬웠던 사회적 환경의 건축을 지적했다는 점에서 많은 흥미를 느꼈습니다. 몽골의 사막화 원인을 캐시미어 생산을 위한 경제성장의 욕구라 짚어내어, 그로 인한 무분별한 방목과 토지의 황폐화 원인을 분석하고 사막화로 인한 악화 과정을 [선형적 악화과정]이라 명명했다. 이를 생태모방법 방목 시스템인 Holistic Management와 녹화사업을 통해 닫힌 욕망의 그래프를 만들어 주고 각각의 단계를 받쳐주는 건축에 대응한다는 것이 <삶의 언덕 : 모래, 바람, 초원으로부터>의 핵심 요소였다.
발표이다 보니 대본과 PPT 등 준비할 게 많았습니다. 떨지 않기 위해 마로니에 공원에서 몇십번이고 대본을 실제처럼 읊어가며 리허설했던 것과 수면부족으로 발표 당일 내내 손이 떨렸던 기억, 청중이 저희의 발표과정을 자세히 보기 위해 자리에 일어서서 까치발을 들고 봐주셨던 점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건축가 조남호 씨께서 지적했듯, 초기 공모조건에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어느 곳이라도 재난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는 조건이 있었는데,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곳으로 시선을 확장한 팀은 전체 팀 중 저희 팀밖에 없었다는 점과, 인문학자 문강형준씨의 지적대로 몽골의 사막화 재앙 속에서, 건축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심도깊은 분석과 제안을 하였다는 점에서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
이전글 | 을지로 뒷골목, 청년예술가 둥지로 / 이건희(금속공예학과 08), 최현택(09), 조민정(11) 동문 |
---|---|
다음글 | [새의자] 신준택 강릉시체육회 상임부회장 / 대학원 교육학과 84 동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