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 소개
바이오발효융합학과에
설치 및 운영되고 있는 연구실로는 생화학 연구실, 미생물학 연구실, 식품생물공학 연구실, 바이오의약소재 연구실, 분자유전학 연구실, 단백질진화 연구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생화학 연구실
담당교수
성문희
과학관 203호
02)910-4808
- 홈페이지 바로가기
주요연구내용
- 1. 미생물기능 이용 바이오식의약 소재 개발
- 2.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및 파마바이오틱스(신바이오틱스 및 포스트바이오틱스) 개발
- 3. 바이오고분자 소재(r -PGA) 플랫폼 기술 확립

-
Functional Bio-Medicinal Materials
- Novel GRAS microorganisms
- Functional biomedicinal materials
- Patent fillings
-
The Microbiota-Gut-Brain Axis
- Model organism:Drosophila
-
Microbiome Analysis
General Drosophila Gut microbiota(Genus) Control군(%) > y-PGA 투여군(%) Lactobacillus 25.07 > 2.77 Commensalibacter 3.07 > 5.63 Acetobacter 70.27 > 87.00 - Metabolome Analysis > Gut-Brain Axis(Microbiota, Central, and Enteric Nervous system)
-
Biopolymer r-PGA Platform Technology
- g-PGA: Poly-g-glutamic acid
-
g-PGA platform patents
- Bio-nanogels biomaterials
- 3D printing biomaterials
- g-ray shielding biomaterials
미생물학 연구실
담당교수
이인형
과학관 217호
02)910-4771
- 홈페이지 바로가기
주요연구내용
본 연구실에서는 한국전통발효식품 미생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Aspergillus, Penicillium 등의 곰팡이에 관한 연구와 Monascus 및 유산균을 활용한 기능성 바이오식의약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전통장류발효 유래 곰팡이의 조미소재 발효 종균으로의 개발 및 안전성 규명
- 식품산업에 사용 가능한 유용 효소 생산미생물의 탐색 및 발효특성에 관련한 연구
- 곰팡이의 이차대사산물 생산기전의 분자유전학적 연구 및 여성갱년기완화소재 개발 및 활용
- 고활성 균주 개량

식품생물공학 연구실
담당교수
박용철
과학관 204호
02)910-5462
- 홈페이지 바로가기
주요연구내용
- 미생물 대사공학(metabolic engineering)을 이용한 식품 및 산업소재의 대량생산기술 개발(자일리톨, 바이오에탄올, 2,3-butanediol, D-ribose)

- 생물전환기술(biotransformation)를 기반으로 한 식품용 향기성분 및 생분해성 솔벤트의 생산(carboxylateester, ethyl lactate)
- 유전자 조작에서부터 목적산물의 생산까지 글로벌 최적화 기술(global process optimization) 개발
바이오의약소재 연구실
담당교수
오상택
과학관 210호
02)910-5732
- 홈페이지 바로가기
주요연구내용
- 화학유전학을 이용한 바이오의약 소재 발굴 및 세포 신호전달 네트워크 연구

항암제, 골다공증 치료제, 비만치료제, 미백제 등
분자유전학 연구실
담당교수
이영석
과학관 215호
02)910-5734
- 홈페이지 바로가기
주요연구내용
- 미각신경에 발현되는 Ionotropic Receptors의 역할 규명을 통한 동물의 다양한 미각신호전달체계에 대한 연구
- 미세환경 인지 센서 발굴 및 기능 연구
- 온도 조절에 의한 일주기성 연구

단백질진화 연구실
담당교수
서주현
과학관 215호
02)910-5602
- 홈페이지 바로가기
주요연구내용
- 차세대 화학소재 생산용 효소 개발
- Therapeutic protein
- 생물정보학 및 기계학습을 통한 단백질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