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인! 국민인!!

“가습기 살균제 희생자 계속 늘어나 추모숲도 미완성이죠” / 이성진(디자인대학원 08) 동문

이성진 실장이 9년 전 만든 그린 디자인 이미지 ‘후쿠시마에서 온 엄마’를 들고 사진을 찍고 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피해자의 고통을 나타냈다. 그는 최근 아내와 코로나 예방노래 ‘우리모두 건강하게’ ‘뭉게뭉게 비누거품’도 만들었다. 두 노래의 동영상은 이 실장이 올해 초 개설한 유뷰트 채널 <까발리오>에서 볼 수 있다. 강성만 선임기자

이성진(49)씨는 오는 10월 창립 10돌을 맞는 환경보건시민센터(공동대표 백도명·황정화)의 유일한 상근 활동가다. 3년 전 대기오염팀장으로 상근을 사무국장을 거쳐 지난해 10월부터 정책실장으로 일하고 있다.
그는 국민대 시각디자인과를 나온 그린(녹색) 디자이너이기도 하다. ‘그린’ 대신 에코나 환경이 붙기도 하는 그린 디자인은 환경과 에너지 절감에 초점을 맞춘 디자인을 말한다. 그는 대략 주 이틀은 센터에서 일하고 다른 시간에는 클라리넷 연주자인 아내와 함께 그린 디자인업체 ‘이길’을 운영하며 밥벌이를 하고 있다.
그는 센터 창립 이후 로고나 연혁표는 물론 캠페인 등 여러 행사에서 쓴 이미지 작업을 도맡았다. 2016년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추모대회 단상에 걸린 ‘말 못하는 시선’도 그의 창작품이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로 병원에 입원한 어린이를 살균제에 쓰인 네 가지 원료물질의 영문 약칭 등으로 표현한 이미지다. 지구의 날을 이틀 앞둔 20일 서울 서대문역 센터 사무실에서 이 실장을 만났다.

안종주 환경보건시민센터 운영위원의 저서 <빼앗긴 숨>(2016)의 표지로도 쓰인 이성진 실장의 작품 <말 못하는 시선>. 이성진 실장 제공

센터는 그간 환경 오염이 부른 인체 피해에 초점을 두고 실태 조사와 피해자 지원 활동을 해왔다. 단체의 구호가 ‘환경이 아프면 몸도 아프다!’인 이유다. 대표적인 활동이 창립 1년 뒤 불거진 가습기 살균제 사건 대응이다. 단체는 최예용 전 소장을 중심으로 이 사건의 진상 조사와 가해자 처벌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끈질기게 내왔다. 최 전 소장은 2년 전 가습기 살균제 사건과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 부위원장을 맡아 지금은 센터 활동을 쉬고 있다. “2016년 첫 피해자 가족모임이 생기기 전까지 5년 동안은 사실상 우리 센터만 외롭게 가습기 피해문제 해결을 위해 싸웠죠.”
그는 지난 4일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유족 8명과 함께 서울 송파구 월드컵공원 서쪽 노을공원에 나무 50그루를 심었다. 희생자 추모와 중증 환자들의 쾌유를 비는 마음을 담았다. 센터는 4년 전부터 해마다 4월이면 추모의 숲 조성을 위한 나무심기 행사를 해왔다. “올해까지 300그루를 심었어요. 2016년 피해 신고한 사망자가 239명이어서 그 정도 나무를 심어 추모하려고 했어요. 그런데 4년이 지난 올해 사망 신고자가 1545명으로 6배 이상 늘어나 나무가 사망자 수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요. 노을공원이 쓰레기산에 조성돼 땅파기도 힘들고 비탈도 심해 한꺼번에 많은 나무를 심기 어려워요.”

그가 그린 디자인의 길을 선택한 데는 스승 윤호섭 국민대 시각디자인과 명예교수가 큰 영향을 줬다. 2000년 국내 첫 그린 디자인 전시 <에브리데이 어스데이>를 열기도 한 스승은 한국에서 그린 디자인을 알리고 정착시킨 선구자이다. 지금은 없어졌지만 2003년 국민대 대학원에 그린 디자인 전공을 개설하기도 했다. 이 실장은 스승이 퇴임하던 2008년 대학원에서 과정을 이수했다. “교수님이 2000년쯤 저한테 ‘내가 돌고 돌아 60살이 되어 친환경 디자인을 한다. 너는 지금부터 하면 어떻겠냐’고 했을 때 속으로 반발했어요. 그 길을 가면 야하거나 폭력적인 요소는 다 배제하고 너무 착한 디자인만 해야 할 것 같아서였죠. 하지만 결국 선생님 뜻을 따랐어요. 저에게 선생님은 스승 이상의 존재입니다. 선생님은 당구도 500점 고수라 함께 있으면 즐거워요. 부르면 언제나 달려갑니다.”

그린 디자인으로 가는 길목에 이런 일도 있었단다. “2004년 ‘놀이 인포’라는 이벤트 콘텐츠 회사를 창업해 폭죽이나 티셔츠, 막대 풍선을 온라인에서 팔았어요. 폭죽은 옥션 연간 판매 1위도 했어요. 그런데 뒤늦게 부산 해운대 바닷가에서 검출된 발암물질의 주범이 폭죽재라는 걸 알았어요. 이를 계기로 디자이너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에 대해 깊이 생각했어요. 막대 풍선도 처음엔 대여하려고 했는데 시간이 지나 한 짝에 100원인 값싼 중국산이 시장을 잠식하더군요. 사업을 할수록 쓰레기를 양산할 수밖에 없었죠.”

시민 활동가로 직접 나선 데는 42살에 얻은 아들(길)이 큰 영향을 미쳤다. “아들이 세 살 때인 2015년 어린이집에 데려다주는데 그날 미세먼지 농도가 130㎍/㎥를 넘었어요. 이 수치면 아이들이 남산 터널 안에서 노는 것과 같다고 하자 어린이집 원장님이 제게 ‘미세먼지 강의’를 해줄 수 있겠냐고 해요. 그때 미세먼지 주제로 8가지 디자인 작업을 해 어른들의 무지로 아이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어요. 강의를 계기로 환경이나 대기오염에 대한 전문성을 더 키우고 싶어 센터 상근을 자원했죠.”

국회는 지난달 가습기 살균제 피해구제 질환을 확대하고 피해 증명 책임도 완화하는 가습기 살균제 피해구제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의 의미와 한계는? “가습기 살균제가 1994년부터 998만개 팔렸고 사용자는 350만명입니다. 이 때문에 4만~5만 명이 병원에서 심각한 치료를 받았어요. 지금도 매년 100명 이상 사망 신고가 들어와요. 처음엔 잘 지내다 뒤늦게 천식이 나타나더니 점점 심해져 2~3년 만에 사망하는 피해자도 봤어요. 하지만 천식 피해자 중 약 400명만 가습기 피해질환으로 인정받아요. 5천명 이상은 받지 못했죠. 암은 모두 인정 질환에서 빠졌고요. 피해 인정 범위를 더 넓혀야 합니다. 이 문제를 관리하지 못한 원초적 책임이 있는 정부가 나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야 해요.”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941439.html

※ 이 기사는 '뉴스콘텐츠 저작권 계약'으로 저작권을 확보하여 게재하였습니다.

 

 

이전글 국민대 성문희 교수, 과학기술훈장 도약장 수훈 / 성문희(바이오발효융합학과) 교수
다음글 국민대 이성민 교수, 방수되는 OLED 섬유로 엮어 만든 텍스타일 디스플레이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