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인! 국민인!!
신소재공학부 이성민 교수, 나노과학기술 분야 세계 저명 학술지 ACS Nano 논문 게재 | |||
---|---|---|---|
태양전지는 태양광에너지를 이용가능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친환경 에너지발전 소자로, 특히 플렉시블 실리콘 태양전지는 높은 재료 안정성 및 낮은 가격과 더불어 초경량, 내파괴성, 플렉시블 동작 등 우수한 특성들을 갖고 있어 차세대 에너지발전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플렉시블 형태로 소자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수 마이크로미터 두께로의 박막화가 필수적인데, 이에 따라 광흡수율이 감소하여 높은 광전변환효율을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팀은 이러한 플렉시블 실리콘 태양전지의 낮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나노광기술을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나노미터 크기의 돌기를 태양전지 표면에 제작하여 회절(diffraction)을 통한 광가둠(light-trapping) 효과로 광흡수를 극대화하였고, 또한 나노플라즈모닉(nanoplasmonic) 금속막과 업컨버전/다운시프팅(upconversion/downshifting) 나노발광입자들로 이루어진 다중발광파장 광집적 도파로(multispectral luminescent solar concentrator)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플렉시블 실리콘 태양전지에 도입, 광전변환 절대효율을 약 4% 이상 향상시키는 결과를 얻어내었다. 본 연구의 기술 개념은 실리콘 태양전지 뿐 아니라 화합물반도체 태양전지, 유/무기 태양전지 등 다양한 종류의 태양전지 소자 효율 향상 기술에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높은 파급력의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해외우수연구기관 유치사업(센터장 이재갑 교수) 및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
이전글 | 신소재공학과 전자현미경 작품상 장려상 수상 / 조현경(대학원 신소재공학과 14), 남경주(신소재공학… |
---|---|
다음글 | 국민대 자작자동차 동아리 KORA, 세계 자작자동차 대회 출정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