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꾸미지 않은 삶, 묵묵히 자연을 새기다 / 전시 예술감독 최태만(미술학부) 교수

묵묵히 놓여 있는 나무와 돌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꾸미지도 않고 다듬지도 않은 그것은 나무이기도 하고, 돌이기도 하다. 그러다 새가 되어 날아갈 듯하고 꿈을 꾸는 듯하다.

 

  
 

●7일부터 서울대 미술관·평창동 김종영미술관 전시

 
한국 추상조각의 개척자 우성(又誠) 김종영(1915~1982)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예술가, 교육자, 선비로서 의 신념에 충실했던 그의 삶과 예술세계를 조명하는 전시가 열린다. 7일부터 서울 관악구 신림동 서울대학교 미술관과 종로구 평창동 김종영미술관에서 열리는 ‘불각의 아름다움, 조각가 김종영과 그 시대’전에는 자연과 사물, 예술에 대한 깊은 사색과 구조에 대한 치열한 탐구로 일관된 김종영의 작업세계를 보여주는 조각, 드로잉, 서예작품과 자료들이 선보인다.

1915년 경남 창원에서 태어난 김종영은 서울 휘문고보에서 교사 장발(1901~2001)의 지도로 조각가의 길을 택하고 일본 도쿄미술학교에서 수학했다. 귀국 후 창원에서 작업에 매진하다 34세인 1948년부터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교수로 30년간 재직했다. 김종영미술관 전시는 그의 삶을 조명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형적 사대부 집안이었던 그의 가계와 자신을 향한 성찰이 낳은 자화상, 유년기와 청년기의 자료들과 초기 작품들이 전시된다. 그가 휘문고보에 재학 중이던 1932년에 열린 전조선남녀학생작품전에 안진경체의 ‘원정비문’을 임서해 1등상을 받은 자료와 1953년 영국 런던의 테이트갤러리에서 열린 ‘무명 정치수를 위한 기념비’ 국제공모 관련 자료, 1963년에 파고다공원(현 탑골공원)에 건립됐던 ‘3·1독립선언기념탑’ 관련 자료를 소개한다. 그가 도쿄미술학교 조각과에 입학해 제작한 ‘조모상’(1936년) 도 공개된다. 아울러 우성김종영기념사업회가 1990년 제정해 격년제로 시상하고 있는 김종영미술상 수상작가와 2004년부터 기획한 ‘오늘의 작가’ 선정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이는 ‘김종영과 그의 빛’전시도 열린다.
 

●‘불각’과 ‘유희’ 정신의 본질 되짚어

서울대학교 미술관 전시는 김종영의 대표적인 추상조각 작품들을 통해 그가 추구했던 ‘불각(不刻)’과 ‘유희’ 정신의 본질을 짚어 본다. 1953년 제2회 국전에 출품했던 한국 최초의 추상조각 ‘새’를 비롯해 브론즈와 철로 제작된 추상조각 ‘꿈’과 ‘전설’ 등은 구상조각의 영향에서 벗어나 현대조각으로의 전환을 시도했던 시기의 작품들이다.

전시의 예술감독을 맡은 최태만 국민대 교수는 “우성은 일상에서 소소하게 경험할 수 있는 감동들이 예술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며 “구체적인 자연물을 모방하거나 재현하는 대신 작품이 자연과도 같이 조형적 구조로 존재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전시는 7월 26일까지이며, 9월 10일부터 12월 10일까지 김종영의 고향인 창원의 경남도립미술관에서 두 전시를 통합해 소개할 예정이다.

 

원문보기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505018004

이전글 하체마비 환자-노약자가 버튼 누르면 ‘아이언맨 슈트’가 침대까지 걸어온다 / 조백규(기계시스템공학…
다음글 "매일 제자들과 5시간 작업…여친 이름까지 다 꿰고 있죠" / 최왕돈(건축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