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근육에 열광하는 사람들 / 홍정기(체육학부) 교수 | |||
---|---|---|---|
인터뷰 | 홍정기 국민대 스포츠건강재활학과 주임교수 “다이어트·육체미에서 벗어나 건강과 직결된 양질의 운동 콘텐츠 개발 절실”
“건강한 나라를 만들려면 ‘피프티 플러스(50세 이상) 세대’를 잡아야 합니다. 60, 70대 때 운동하려면 너무 늦어요.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피트니스산업의 형태를 보면 모든 것이 20, 30대에 맞춰져 있어요. 나이 드신 분이 따라 하기 힘든 운동이 대부분이고, 이들이 편안한 분위기에서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이 거의 없죠. 하지만 ‘몸짱’ 스타 발굴보다 중요한 것이 국민 건강 증진이에요. 50세 이상 중년층이 눈치 보지 않고 운동할 수 있는 분위기가 하루빨리 조성돼야 합니다.” 홍 교수는 중년층 운동 활성화의 한 방편으로 일대일 트레이닝이 아닌, 소규모 그룹 운동을 제안한다. 운동하는 사람 수가 늘어나면 가장 먼저 퍼스널트레이닝(PT) 강사 비용이 내려가 부담 없이 운동을 즐길 수 있고, 여럿이 함께 운동하면 중·노년층이 놓치기 쉬운 사회성도 회복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다. “최근 노인 우울증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만큼 운동으로 몸과 마음의 건강을 모두 되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피트니스클럽은 전문성을 갖춘 스타 강사를 영입해 수업을 즐겁고 알차게 진행해야겠죠. 무엇보다 고객을 수익 창출 수단으로만 보지 말고, 사업자 스스로 운동 철학을 다시 한 번 되새길 필요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피프티 플러스 세대를 위한 맞춤형 운동 콘텐츠 개발이 절실하다. 그러기 위해선 산학협력을 통한 연구개발이 이뤄져야 한다는 게 홍 교수의 생각이다. 홍 교수는 “운동과학, 스포츠과학, 건강재활 관련 학과에서 고객 니즈를 파악하고 전문가의 임상실험을 기반으로 한 양질의 운동법을 개발해야 한다. 그래야만 중·노년층이 어느 피트니스클럽에 가더라도 표준화된 운동법을 전수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요구되는 상황이다. 홍 교수는 “문화체육관광부와 보건복지부가 나서서 국민 요구를 파악하고, 산학협력 지원을 통해 양질의 운동법을 개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국민 삶의 질을 높여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 http://weekly.donga.com/3/all/11/534652/1 |
이전글 | 성동구, 마장동 벽화마을 봉사…젊은층 중심으로 / 도자공예학과 '낭자팀' |
---|---|
다음글 | 국민대, 글로벌 청년 취업·창업 산실로 도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