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기고-이석환] 항공기 위해물품 사전체크를 / 행정정책학부 교수 | |||
---|---|---|---|
정부는 시대 변화에 맞게 위해물품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공항 운영자는 위해물품에 대한 정밀 검색과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이와 동시에 탑승객은 항공기 이용 시 위해물품 포함 여부를 반드시 사전에 체크하고 다시 한 번 확인할 필요가 있다. 위해물품의 적발과 사고 위험 노출이라는 사후 처방에 앞서 탑승객의 자발적인 동참을 통해 사전 사고 예방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이제는 예전처럼 공항에서 위해물품을 사후에 적발해내는 방식에만 의존할 게 아니라 탑승객이 탑승 전 또는 공항 도착 전에 자발적으로 항공기 위해물품을 체크해서 반입을 최소화하는 데 일조해야 한다는 인식이 필요한 것이다. 다만 일반 국민들 입장에서는 무엇이 위해물품인지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 말은 반대로 말하면 만약 탑승객들이 항공기를 탑승할 때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물품 중 어떤 물품이 위해물품인지 손쉽게 알 수 있다면 탑승객의 위해물품 사전 체크 문화가 자리잡을 수 있다는 말이다. 다행인 점은 최근 공항 운영자가 항공사와 협조해 사전점검 시스템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사전점검 시스템이란 탑승객이 소지한 물품에 대해 쉽게 사전 체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먼저 탑승객이 탑승 예약할 경우 탑승객에게 위해물품 반입 금지를 요청하는 문자가 전송된다. 이 문자를 통해 위해물품 체크 및 확인용 웹사이트로 연동되며 여기에서 폭발성·인화성 물질, 유독성 물질, 무기로 사용될 수 있는 물품, 일반 생활용품 및 의료용품, 국제선 객실 내 액체류 반입 기준 등을 확인할 수 있어 탑승객 스스로 사전에 항공보안 위해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탑승객 입장에서는 사전 체크가 번거롭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자신의 여행가방이 문제가 될 경우 기분 좋게 떠난 여행에서 예기치 못하게 겪게 될 불쾌감을 생각해본다면 사전 체크는 오히려 즐거운 여행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임을 알 수 있다. 보안 위해요소 사전 점검 문화가 제대로 정착된다면 우리나라의 항공보안 수준이 더욱 안전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보안검색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시간이 줄어들어 신속하고 쾌적한 공항 이용이 가능해진다. 이와 더불어 항공기 지연 방지 등 부가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정부와 공항 운영자, 항공사와 더불어 우리 모두의 보안 의식이 성숙하게 자리매김한다면 항공기 안전운항에 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항공 보안이 한층 견고해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석환 국민대 행정정책학부 교수
원문보기: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654147&code=11171314&cp=nv
|
이전글 | [기고]20년 전의 기억과 PP의 현실 / 김도연(언론정보학부) 교수 |
---|---|
다음글 | “양구 백자 우수성·매력 국내·외 전파 시발점 계기”/ 홍영의(국사학과)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