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경제시평-이은형] 신세계의 실험을 환영한다 / 이은형(경영학부) 교수 | |||
---|---|---|---|
유통 대기업 신세계의 ‘주 35시간 근무제’ 시행은 우리 사회를 공고하게 떠받치고 있던 ‘장시간 근로의 신화’에 유의미한 일격을 가했다. 재계 순위 10위의 대기업이 법정 근로시간 40시간보다 더 짧은 근로시간을 시행하겠다는 것도 놀랍지만 임금 수준을 유지하겠다고 선언해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신세계는 제도 시행을 앞두고 시간별 매출 추이 등을 분석하여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직원들의 생산성 향상 및 프로세스 효율화 등을 통해 근무시간 단축을 보완할 것이라고 밝혔다. 16개 계열사, 5만여 명의 직원이 당장 이 제도의 혜택을 볼 것이라 하니 드디어 ‘저녁이 있는 삶’이 가능한 사회가 될 것인가 희망도 갖게 된다.
근무시간 단축은 일과 삶의 균형(Work Life Balance)에 가장 중요한 전제조건이다. 우리나라 근로자의 근로시간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보다 연간 347시간 길고, 멕시코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길다. ‘연장근로사회’는 일과 가정을 병행하기 어렵게 만들고, 여성의 경력 추구를 특히 어렵게 만들어 경력단절을 초래하며, 나아가 출산율 저하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연장근무수당을 받아야 현재의 임금수준을 유지하는 근로자와 부족한 인력으로 버텨보려는 기업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연장근로는 필요악으로 굳건하게 자리 잡고 있는 게 우리의 현실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내놓은 ‘근로시간 단축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노동시간을 줄여 주 40시간 근무제를 도입한 사업체의 노동생산성이 2.1% 높다고 한다. 2016년 3월 대한상공회의소 의뢰로 컨설팅회사 매킨지가 펴낸 직장문화 보고서 역시 노동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산적 활동시간의 비중이 낮아진다는 결과를 보였다.
원문보기: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869424&code=11171313&cp=nv |
이전글 | [김병준의 말] 가상화폐 대책, 보다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 김병준(행정정책학부) 교수 |
---|---|
다음글 | [2018 정시]국민대 인문·자연 일반전형 수능 100% 선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