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조선일보] "日 과소평가 해선 안돼… 인류 보편적 이슈 내세워 서구와 연합해야" / 한상일(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 |||||||
---|---|---|---|---|---|---|---|
동아시아에 다시 국가주의 파도가 몰아치고 있다. 일본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고 일본군위안부 강제 동원을 부정하는 등 100여년 전 침략의 역사로 시곗바늘을 되돌리려 하고 있다. 급속한 경제 발전으로 'G2'가 된 중국은 항공모함 도입 등 군사력을 키우며 대국(大國)의 영광을 되살리려는 행보로 분주하다. 19세기 말 조선은 강국의 다툼 속에서 국제 정세를 제대로 읽지 못하고 갈팡질팡하다 나라를 빼앗기는 치욕을 겪었다. 당시 '조선책략(朝鮮策略)'을 써 그것이 조선의 살길이라고 훈수한 이는 청나라 외교관 황준헌(黃遵憲)이었다. 그로부터 100여년 후 세계 경제 10위권 국가로 급성장한 한국은 새로운 시각으로 한국책략(韓國策略)을 모색해야 할 때다. 격랑(激浪)의 파고(波高)를 헤쳐나갈 '신(新)한국책략'을 전문가들로부터 듣는다. "현재 한일 관계는 1982년 일본 교과서 파동 이후 최악의 시기를 맞고 있다. 당시는 교과서 검정 때 이웃 나라를 배려하겠다는 미야자와(宮澤) 관방장관 담화가 나오면서 화해 분위기가 만들어졌지만, 지금은 경기 침체와 취약한 정치 리더십, 일본 사회의 극우화로 해결책을 쉽게 찾기가 어렵다는 점이 다르다." "1993년 자민당이 장기 집권해온 '55년 체제'가 붕괴하면서 고이즈미 내각 5년을 제외하면 거의 매년 총리가 바뀌었다. 내각 수명이 평균 1년이 안 될 만큼 정치적 리더십이 취약하다. 1990년대 이후 '잃어버린 20년'이 된 경기 침체와 작년 쓰나미 사태가 겹치면서 일본 사회에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이런 국내적 상황이 과거사의 책임을 부정하고, 극우적 발언이 쏟아지는 배경이 되고 있다. 일본의 장래를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다." ― 이런 일본을 상대로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 "지금까지 그래 왔듯 한일 관계는 두 가지 트랙을 함께 써야 한다.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과거사 책임을 부정하는 세력을 비판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고노 담화의 정신에 공감하는 양심적 정치인과 지식인·사회단체와 계속 소통하면서 문제를 풀어갈 수밖에 없다." ― 일본에는 일본군위안부와 과거사 반성을 요구하는 한국의 주장을 성가시게 생각하는 이가 많은 것 같다. 일본 신문에서도 그간 과거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걸 왜 알아주지 않느냐는 글들이 나온다. "일본의 침략과 한국 병탄으로 빚어진 징용, 징병,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입장을 정리해 한일 국회에서 결의안을 통과시키는 방식을 생각해볼 수 있겠다. 이상론(理想論)으로 들릴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는 국민의 뜻을 대변하는 국회에서 이런 결의안을 만드는 게 총리나 각료 차원의 사과보다 더 구속력이 있고, 두 나라 국민의 공감대가 클 것이다." ― 일본 정치인들의 잇따른 망언(妄言)이 일본이라는 나라를 과소평가하게 만드는 측면도 있는 것 같다. 원문보기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8/31/2012083100217.html 출처 : 조선일보 기사보도 2012.08.31 |
이전글 | [국제신문] 지방이 행복한 나라 만들자, 릴레이 기고- 김병준 희망제작소 고문 / 김병준(정책학전공)… |
---|---|
다음글 | [한국경제] 정보기술 도입으로 조직변화..구성원의 소셜네트워크에 주목해야 / 곽기영(경영정보전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