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기고] 폴 매카트니 공연과 `떼창`의 에너지 / 조현진 미래기획단장 | |||
---|---|---|---|
지난주 대중문화계를 관통한 최대 키워드는 폴 매카트니였다. 1년이나 연기된 끝 한국 땅을 밟은 매카트니는 서울 잠실주경기장을 가득 메운 4만5000여 명의 관객 앞에서 160분 동안 노련하면서도 성의 있게 그리고 무엇보다 즐겁게 관객을 위해 40곡을 쏟아냈다. 매카트니의 무대만큼 눈여겨볼 대목은 관객의 반응이었다. 한국 관객의 폭발적이고 열정적인 반응은 이미 해외에 널리 알려진 현상이다. 록밴드 마룬 5(Maroon 5)는 2008년 첫 내한 공연 이후 "공연하면 한국이 최고"라는 말을 서슴지 않고 공개적으로 얘기해왔다. 여가수 셀린 디옹(Celine Dion)은 "한국 공연장은 다른 나라 공연장 5곳을 합한 것만큼 에너지가 넘친다"고 밝히기도 했다. 록밴드 스웨이드(Suede)는 2011년 한국의 역동적인 모습에 감동받고 당시 한국은 쳐다보지도 않던 콧대 높은 동료 밴드 라디오헤드(Radiohead)에 한국을 찾아갈 것을 권유해 성공적인 공연을 성사시키기도 했다. `한국 공연` 하면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는 아티스트는 그야말로 끝이 없다. 무엇이 한국 공연을 이토록 특별하게 만들까? 종이비행기, 스마트폰 불빛, 손팻말, 기립박수와 함성 등 수많은 요소가 있지만 그 중심에는 `떼창`이 있다. 매카트니의 공연에서도 정규세트 마지막 곡 `헤이 주드(Hey Jude)`가 끝나고 멤버가 모두 무대를 떠났지만, 관객이 후렴구를 계속 부르자 앙코르를 위해 다시 무대에 나온 밴드가 이 곡을 함께 마무리하는 좀처럼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아름다운 광경이 연출됐다. 감동받은 매카트니도 끝끝내 `한국이 최고(Korea Rules!)`라고 인사했다. 상투적인 인사가 아닌 열정에 감동받은 진솔한 화답이었다. 공연에서 떼창을 통해 아티스트와 관객이 쌍방향으로 호흡하는 이런 열정은 비록 공연장 안에서만이 아니고 `다이내믹 코리아(Dynamic Korea)`로 대변되는 한국 특유의 열정이기도 하다. 이는 곧 한국을 외국에 알릴 수 있는 한국만이 갖고 있는 훌륭한 자산이자 차별화되는 소재이기도 하다. 그러기에 이제는 유명 아티스트의 내한공연을 해외홍보의 중요한 수단으로도 고려해 볼 때다. 그 방법은 한국에서의 공연실황, 즉 라이브 음반이나 영상 DVD 제작을 지원하거나 유도하는 일이다. 해외홍보 관점에서 라이브 음반의 최대 매력은 공연 국가나 장소가 끊임없이 회자되면서 국가이미지 제고에 도움을 준다는 점이다. 일본의 경우 이미 70년대부터 많은 아티스트들이 라이브 음반 역사에 남는 명반을 다수 남겼다. 록밴드 딥퍼플(Deep Purple)의 유명한 라이브 음반 타이틀은 다름 아닌 `메이드 인 재팬(Made in Japan)`. 1972년 발매됐으니 로큰롤 팬들에게 `재팬`이라는 이름이 주는 긍정적인 효과는 40여 년째 계속되고 있는 셈이다. 1979년 발표된 `밥 딜런 앳 부도칸 (Bob Dylan at Budokan)` 이후 도쿄의 부도칸(武道館)은 대중음악의 주요 명소 반열에 올랐다. 폴 매카트니가 이번 한국 방문 직전 일본에서 가졌던 마지막 공연도 바로 이 부도칸에서였다. 한 나라를 외국에 알리려면 다른 나라에 없는 차별적인 소재 발굴만큼 중요한 접근방법은 없다. 한국 공연장의 역동적인 관객 모습은 그 자체가 명장면이다. 떼창은 감동적이다. 음반 타이틀에 코리아나 서울이 들어가는 것만큼 효과적인 간접홍보는 없다. 아티스트가 사라져도 음악과 음반은 남기 때문이다. 생각하지 않은 이런 해외홍보 전략의 발굴이 `창조`적인 해외홍보 기법이다. 한국에서 녹음돼 세계에 소개될 수 있는 라이브 음반의 타이틀을 매카트니는 어쩌면 우리보다 더 잘 알고 있었던 것 같다. `Korea Rules!` [조현진 국민대 미래기획단장·교수]
원문보기 : http://news.mk.co.kr/news_forward.php?domain=news&no=436732&year=2015 |
이전글 | [다산칼럼] 환율전쟁 유탄 맞은 기업들 / 유지수 총장 |
---|---|
다음글 | '검은 황금' 석유, 배신의 끝은… "러시아 경제위기는 이제 시작일 수도" / 이상준(국제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