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시론] 미국 금리인상 철저히 대비해야 / 윤정선(경영대학) 교수

기준 금리 인상되면 자산가격 하락 가능성
이자지급액도 증가해 수출의존도 높아
일정 수준 타격 불가피 재무구조 개선 나서야 

 

미국의 기준금리인상이 임박하고 있는 모양새다. 연방준비은행(이하, 연준)이 2013년 양적완화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테이퍼링에 착수하면서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모호하게나마 고용지표와 연관하여 제시한 이래로 여러 차례 우여곡절을 겪어왔지만, 최근 들어 연방준비은행 총재들의 기준금리인상이 임박했음을 알리는 발언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기준금리인상을 위한 분위기도 무르익고 있다. 미국의 경제성장률 등 거시경제지표들은 지난 수 분기 동안 안정적인 성장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무엇보다도 미국의 고용지표가 점차 완전고용수준에 근접해가고 있다는 점이 기준금리인상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미국은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래 수년간 사실상 0% 금리를 유지해 온 이래 처음으로 이르면 금년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기준금리가 인상되게 되면 자산가격이 하락하고 경기가 위축될 수 있다. 또한 시중금리가 상승하여 부채를 가진 기업들이 부담해야 하는 이자지급액이 증가하는 등 재무적 부담이 가중될 것이다. 이와 같은 우려는 최근 부채비율이 크게 증가한 우리나라의 기업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우선 국내기업들의 부채비율은 최근 수년 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대규모 기업집단에 속하지 않은 기업들의 부채비율은 2011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면서 최근에는 2008년 금융위기 당시의 부채비율에 근접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기업의 부채비율이 상승세를 유지한 이유는 저금리 기조가 수익성이 낮은 기업이나 투자재원이 부족한 기업들에게 부채가 요긴한 재원으로 활용될 수 있고, 자금사정이 어렵지 않은 기업들에게도 값싼 자금을 활용하고자 하는 유인이 작용한데서 비롯됐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저금리 기조 하에서 증가한 부채비율은 금리상승기에 접어들면 준비가 부족하거나 수익성이 낮은 기업들에게는 자칫 부메랑이 되어 돌아올 수 있다. 우선 부채사용에 따르는 비용인 이자는 영업이익과는 무관하게 기업이 반드시 지출해야 하는 고정비용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은 높은 이자비용을 부담하기 위하여 더욱 많은 수익을 올려야 하지만 이자비용의 재원이 되는 영업이익은 지난 수년간 오히려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감당할 수 없는 소위 좀비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금리가 상승할 경우 더욱 심해질 것이다.. 금리인상과 더불어 이자비용이 증가하게 될 것이므로 낮은 수익성으로 인해 연명이 어려워 부채에 의존한 기업의 경우 금리상승은 사실상 기업의 생존을 위태롭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설사 수익성이 낮지 않은 기업이라고 하더라도 금리상승으로 인한 이자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면 예기치 않은 재무적 곤경에 처하게 될 수도 있다. 

사실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한다고 하더라도 연속적인 인상보다는 한 차례 인상 이후 시장상황을 예의주시해 추가인상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는 전망이 보다 현실성이 있어 보인다. 지금까지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그다지 높지 않은데다 중국경제의 부진, 유럽에서의 테러사태 등으로 경기침체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그 동안 비둘기파 행보를 보여 온 연준이 갑작스럽게 연속적인 금리인상을 추진하기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의 입장에서는 한 차례 금리인상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우선 금리인상으로 인해 금융시장이 경색되거나 경제회복이 지연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 만약 한 차례의 금리인상으로 대외환경이 악화된다면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없다고 할지라도 수출의존도가 높은 국내경제에 일정 수준의 타격이 불가피하게 될 것이고 이는 가뜩이나 좋지 않은 국내기업의 수익성 악화, 영업이익의 감소로 이어져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에게는 증가한 이자비용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키게 될 것이다. 

다행히 금리인상 이후에도 금융 및 실물경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면 어느 정도 여유는 찾을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여전히 재무구조 개선이라는 숙제가 남게 될 것이다. 금리인상으로 인한 후유증이 크지 않다면 이는 미국의 기준금리인상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파급효과가 크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연준이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고려할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낳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그 동안 연준의 행보를 보아 쉽사리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추진할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이지만 장기적으로 보아 그 가능성은 증가할 것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금리가 추가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에 대비하여 재무구조개선에 나서야 할 것이다.

윤정선 국민대 경영대학 교수 

 

원문보기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5120402102351607002

이전글 사법시험 존치 논란 가열...해법은? (사법시험 존치 찬성) / 이호선(법학부) 교수
다음글 [경기천년을 말하다] 7. 통일 남북협력 / 홍영의(국사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