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수요 에세이] 일상의 스포츠로 시선을 돌려야 하는 이유 / 이대택(체육대학) 교수 | |||
---|---|---|---|
지난 6일 아침부터 삼바의 매혹이 지구를 흔들고 있다. 보름 남짓 열리는 초지구적 축제는 이 지긋지긋한 먹통 더위마저 버틸 수 있게 해준다. 정말이지 승패와 무관하게 스포츠는 언어와 피부 색깔을 뛰어넘어 온 지구가 하나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마력을 가졌음에 틀림없다. 그러나 이 축제가 내심 그리 편하지만은 않다. 올림픽 이후가 다시 걱정되기 때문이다. 우리가 세계 10위 안에 드는 스포츠 강국이라 자랑스러워하는 동안 엘리트스포츠가 감내해야 하는 현실은 너무나 혹독하기만 하다. 인기 종목과 비인기 종목 사이에 빈익빈 부익부는 더 심해졌다. 운동선수가 되겠다는 어린이는 갈수록 씨가 마르고 있다. 점점 더 많은 학부모들이 자식들이 운동선수가 되지 않기를 바란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게 길어도 30대까지밖에 현역으로 뛸 수 없는데 은퇴 이후 삶이 너무나 막막하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체육단체와 정부조차도 선수들이 은퇴 후에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여전히 갈피를 잡지 못한다. 언론에 등장하는 체육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은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판정시비, 승부조작, 선수폭행, 입시비리 등은 여전히 기승이다. 선수들의 인권은 뒷전이다. 아니 선수인권이 무엇인지조차 모르고 관심도 없다. 전국체전은 그들만의 잔치가 되어버렸다. 중고등학교는 물론 대학에서도 운동부를 바라보는 시선은 예전같지 않다. 선배 선수들은 예전을 그리워하며 엘리트스포츠에 더 많은 지원을 바란다. 그렇다고 우리 일상에서 즐기는 이른바 ‘생활체육’ 여건이 좋아진 것도 아니다. 여전히 학부모들은 체육시간을 싫어한다. 우리나라 여자 선수들이 세계 최고라고들 하지만 초중고 여학생들은 체육시간을 꺼린다. 운동은 다이어트와 사회적 위치를 점유하기 위한 도구로 전락했다. 장애인이나 노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들과 운동공간을 공유하는 것도 싫어하는 눈치가 역력하다. 굳이 비교하자면 소위 우리가 부러워하는 나라들은 우리보다 더 많은 메달을 따지 못한다. 그럼에도 행복한 사회일수록 생활체육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하는 것은 분명하다. 이 나라들이 일상 속에서 체육을 즐기는 이유는 그 가치와 목적이 인간의 기본권과 연계되어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자신의 몸을 이용해 자유와 행복을 표현하고 육체적 경쟁과 한계 극복을 통해 자아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포츠로 인간이 평등할 수 있고 상호 인격존중이 가능함을 알기 때문이다. 국가는 개인의 육체적, 사회적 조건과 상관없이 누구나 보편적으로 몸을 만끽할 수 있도록 보장해 줘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도 체육을 그저 국가의 위상을 높이고 나라 이름을 세계에 알리는 목적으로만 접근했던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우리와는 천양지차이다. 일상에서의 스포츠에 대한 관심과 투자를 늘리는 것은 결코 엘리트스포츠에 해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엘리트스포츠가 현재 당면하고 있는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더 많은 스포츠 참여인구를 유입시키고 스포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전환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자연스럽게 스포츠 환경의 생태적 균형을 이루고 다양성도 확보할 수 있다. 선수도 풍부해지고 사회적 합의에 의한 공정한 스포츠 환경이 뿌리를 내린다. 물론 선수 출신들의 사회적 역할도 더불어 커진다. 생활체육의 활력이 엘리트스포츠의 근간이 될 수 있다. 아직도 엘리트체육과 생활체육의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이 와중에 국가의 체육예산은 엘리트체육과 국제스포츠 이벤트에 쏠려 있다. 평범한 사람들이 일상에서 즐길 수 있는 생활체육과 사회의 미래라고 여겨지는 학교체육을 위한 정책은 상대적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있다. 행복한 사회는 우수한 운동선수를 위한 정책과 지원만으로는 결코 이룰 수 없다. 오히려 운동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무시하는 편견을 없애고 언제 어디서나 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고민하는 모습 속에서 찾을 수 있다. 특정 ‘엘리트’에서 누구나의 ‘일상’과 ‘학교’로 우리의 가치와 목표를 선회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원문보기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817029004 |
이전글 | [열린세상]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 홍성걸(행정정책학부) 교수 |
---|---|
다음글 | [오늘의시선] 눈치없는, 눈치만 보는 공직사회 / 이대현(언론정보학부) 겸임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