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경제 view &] 진입장벽 낮은 전기차 대신 수소차 연구개발을 / 유지수 총장 | |||
---|---|---|---|
자동차 산업에 적신호가 켜졌다. 296만명이나 종사하는 자동차 산업이 흔들리면 고용대란이 올 수 있다.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이 어려운 것은 원화 강세와 만성적 노조파업에 더해 세계 최대인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고전하기 때문이다. 중국이 한국 자동차 회사를 제재하면서 매출이 급락했다. 중국은 한국 자동차 회사의 동반진출 전략을 문제시 하고 있다.
한국 자동차회사는 외국에서 한국 기업으로 형성된 생산 생태계를 조성해 왔다. 중요 부품에 대해 중국 부품업체가 생산에서 배제되어 있으니 우리에게는 ‘동반성장’과 ‘기술보호’ 측면에서 좋지만 중국에는 불리한 구조다. 중국에 생산을 허가해 주었더니 한국만 좋은 일 한다고 중국은 생각한 것 같다. 이것이 사드를 계기로 터진 것이다. 미국에서도 한국 자동차 회사와 부품업체의 ‘끈끈한’ 관계를 면밀히 조사하기 시작했다. 미국·중국과 같은 대국도 자국의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우리가 대국의 기업과 경쟁하려면 미래형 자동차로 도약하여 세계 시장을 선도해야 한다. 수소 전기차·전기차·자율주행·친환경·안전·경량화 등 많은 분야에서 자동차 기술도 빠르게 변하고 있다. 너무 많은 기술에 너무 많은 투자를 너무 짧은 기간에 해야 한다. 국가와 기업이 기술개발 부담을 적절히 나누어야 한다. 우리의 핵심 경쟁력인 내연기관은 기업이 전담하고, 당장 돈이 안 되는 차세대 자동차 기술은 국가와 기업이 같이 협력해야 한다. 차세대 기술도 잘 정해야 한다. 현재 관심이 높은 전기차는 승부수가 아닌 것 같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기술 난이도가 떨어진다. 그래서 자동차를 한 번도 생산한 적이 없는 테슬라·구글·바이두는 물론 심지어 청소기를 만드는 다이슨도 전기차에 진입하고 있다. 만일 전기차가 세계의 대중차로 자리 잡는다면 테슬라와 같은 고급 전기차 시장을 제외한 나머지는 가격 경쟁력이 월등한 중국 전기차가 세계를 지배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전기차보다 고급 기술이 필요한 수소 전기차에 승부를 거는 것이 더 나을 것 같다. 수소 전기차는 ‘스택’이라는 발전기를 장착해 전기를 자체생산하기 때문에 가장 친환경적인 자동차라고 할 수 있다. 우리 자동차회사는 세계 최초로 수소 전기차 양산에 성공했다. 기술적으로 앞서고 있다. 그러나 안심할 수가 없다. 중국도 수소 전기차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태양광 발전소에서 나오는 전기로 수소를 만들어 이를 수소 전기차에 공급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일본은 수소 활용 면에서 가장 앞서 나가고 있다. 호주의 갈탄에서 수소를 추출해 이를 일본으로 수송하려고 한다. 또 수소충전소 시설을 2020년까지 160기로 늘린다. 일본 완성차 메이커와 공공은행이 출자해 충전업체(NCS)도 설립했다. 한국에서는 이렇게 할 수가 없다. 수소 안전성 인식 부족으로 인한 주민의 반발과 연간 약 2억원으로 추산되는 운영비에 대한 지원 부족으로 충전소가 10개도 안 되기 때문이다. 각국은 자율주행차 기술개발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중국은 ‘중국제조 2025와 인터넷플러스’를 통해 자율주행기술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또 대학과 기업간 산학협력에도 천문학적인 금액을 지원하고 있다. 일본은 자율주행 기술개발에 5개 정부부처가 합동으로 투자하고 있다. 수소 전기차에 자율주행 기술이 접목되면 기술의 난이도가 높아져 아무나 진입할 수 없는 장벽이 생긴다. 결국 수소 전기차와 자율주행을 먼저 접목해 완성하는 국가가 세계 친환경 자동차 시장을 선도하게 될 것이다. 한국은 지난 십 수년간 중앙정부·지자체·국회의 엇박자로 국가 집행력이 뚝 떨어졌다. 내비게이션 없이 헤매는 자동차 같다. 이제는 우리 기업이 최첨단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범국가 차원에서 지원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자율주행 기술을 갖춘 친환경 수소 전기차로 우리나라 경제가 속 시원하게 쾌속 질주했으면 좋겠다. 원문보기: http://news.joins.com/article/22376747 |
이전글 | [조성권 칼럼] 강남 사모님들의 강남불패론 / 조성권(경영대학원) 객원교수 |
---|---|
다음글 | 성희롱이란 말이 처음 어떻게 쓰였는지 아시나요 / 한희정(교양대학)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