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라이프 칼럼-류성창 국민대 교육학과 교수]‘통일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소고 / 류성창(교육학과) 교수

통일된 한반도가 눈앞에 아른거리는 느낌이다. 남북 지도자가 만나서 화기애애하게 대화를 하는 모습을 접하면서 우리는 곳곳에서 희망을 찾게 된다. 당장 통일이 되는 것은 아니겠지만, 최근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되는 과정을 보면서 통일이 찾아올 시점 역시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다는 점도 깨닫게 된다. 

독일 통일처럼 우리의 통일 역시, 우리가 바라건 바라지 않건 예측하지 못한 순간 갑자기 찾아올 수 있다. 사회 각 분야에서 통일을 대비하는 연구가 충분히 축적된 상태에서 통일이 찾아오면 사회적 변화에 적절히 대비할 수 있겠으나, 만약 그렇지 못한 상태에서 통일이 찾아온다면 대대적인 혼란은 불가피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육분야에서 준비해야 하는 것은 통일의 과도기나 통일 이후 우리가 추진해야 할 교육정책에 대한 것이다. 남북의 활발한 교류가 가능한 과도기나 혹은 남북이 체제적으로 하나가 되는 통일이 이루어진다면, 교육 역시 그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방식으로 변모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생각해보면 과도기에는 남북간 대학생들의 학점교류, 학력인정 혹은 교환학생 등의 교류프로그램이 추진될 수도 있을 것이고, 직업훈련의 상호 인정이나 직업훈련기관의 네트워크 연계 등이 실질적으로 필요하게 될 수도 있다. 

또 남북 간 이주가 가능해 지면 학교 간 학력인정을 위한 교육과정의 공통 기준을 마련하는 일이 핵심적인 업무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한국 및 동아시아 교육문화에 있어서 대입이라는 관문을 배제하고 교육정책을 구상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무의미할 수 있어 통일 시대에 대입정책을 어떻게 할 것인지, 대입 평가내용 구성에 있어서 어느 지역의 교육내용을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학생선발 시 출신 지역을 어떻게 평가하거나 우대할 것인지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정책을 위한 기초 자료가 축적되어야 한다.

독일, 베트남, 예멘,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유럽연합, 미국의 흑인교육 등 교육을 통한 사회통합을 시도했던 여러 해외 사례를 면밀히 검토해 통일의 과도기나 통일 이후에 요구될 사회의 통합과 안정을 이루어낼 수 있는 교육정책이 고민되고 개발되어야 할 시점인 것이다.

특히 통일 이후의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는 현재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지만, 해당 분야의 개념적인 틀이 기존의 ‘통일교육’에서, 통일 이후의 교육을 다룰 수 있는 보다 큰 틀인 ‘통일통합교육’으로 재정비될 필요가 있다.

엄밀히 말하면 통일이 이루어지면 통일교육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분야가 된다. 그러나 통일의 과정이나 그 이후에 그 어느 분야보다 신중하게 추진되어야 할 정책분야가 있다면 교육정책이 될 것이므로, 통일의 준비, 통일의 과정, 그리고 통일 이후까지도 포괄할 수 있는 개념으로서 통일통합교육이 본격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한반도의 통일은 현재 협소한 인지적 기술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교육을 근본적으로 혁신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줄 수도 있다. 그러한 교육 개편의 기회가 될 수 있는 미래의 통일을 이론적이고 체계적으로 대비해 혼란을 최소화 하고 사회 통합을 이루어 낼 수 있는 교육정책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통일의 과정과 이후를 대비하는 교육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 보다 높은 시대적 포괄성을 가정한 ‘통일통합교육’에 대한 활용이 요구되는 시점인 것이다.

 

출처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0501000300

이전글 [기고] 미세먼지 속에서 살아남는 4가지 방법 / 한화택(기계공학부) 교수
다음글 [북경 모터쇼] 올해 3대 키워드는 'SUV·전기차·중국 맞춤형' / 정구민(전자공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