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그들은 왜 달렸는가? / 조현신(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교수 | |||
---|---|---|---|
영화 ‘불의 전차’ 속의 달리기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고도의 훈련과 극기, 집념과 승부가 펼쳐지는 스포츠 세계에서는 많은 휴먼 드라마가 탄생한다. 영화 ‘불의 전차’는 몇 겹의 스토리텔링이 다각적으로 교차하면서 전개되는 불후의 스포츠 명화로 꼽힌다. 이 영화는 1924년 파리 올림픽에 출전했던 영국 마라톤 대표 선수 두 명의 실제 이야기를 그리고 있 다.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겠다는 일념으로 100m 대회에 출전하였지만 주일(일요일)에 예선이 열린다 는 이유로 출전을 포기한 선수 에릭 리델, 케임브리지대에 들어갔지만 유대인이라고 여전히 무시와 차별을 당하는 것에 분노하여 챔피언이 되어 자신을 인정케 하겠다는 일념으로 달리는 헤럴드 에이 브러햄의 이야기가 교차되며 전개된다. 제목은 영국의 시인 윌리엄 브레이크의 시에서 차용되었는데, “나에게 이글거리는 불의 활을 가져다 다오, 내게 불의 전차를 가져다 다오, 나는 정신적 분투를 멈추 지 않으리라”라는 시구로 끓는 듯한 투지와 국가에 대한 사랑을 표현한 성공회 성가이기도 하다. 이 영화는 그해 아카데미 작품상, 감독상, 의상상, 음악상 등 네 부문에서 수상하였으며 칸 영화제와 골 든 글로브에서도 수상하였다. 특히 반젤리스가 작곡한 배경 음악 앨범은 빌보드 차트에서 1위를 한 이후 여전히 다양한 버전으로 연주되며 사랑받고 있다. 대비의 레이아웃으로 시작된 첫 장면 영화의 첫 화면은 심장의 박동처럼 피아노의 비트 리듬과 바이올린의 화음이 펼쳐지는 가운데 대각 선 구도의 해변을 일군의 남자들이 달리고 있다. 푸른 바다, 갈색의 모래사장을 배경으로 흰색의 운 동복과 파도, 바닷물을 튕기는 강인한 맨발, 환히 웃는 인물들의 표정이 클로즈업된다. 이런 장면을 배경으로 “가슴에는 희망이 차오르고, 두 발에는 날개가 돋는다”라는 도입부의 내레이션은 관객을 스코틀랜드 해변으로 감각적으로 흡인하고 있다. 여기서 디자인의 관점에서 왜 해변을 사선의 앵글 로 잡았는지 역으로 추정해 보자. 사선은 수평선이 주는 평안과 수직선이 주는 긴장 사이에 존재하 는 선이다. 이 선은 방향성을 지닌 운동을 보여 주는 역동적인 조형 요소로서, 감독은 시각적 구도를 통해 이 영화의 생동성을 표현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들의 달리기는 멀리 보이는 웅장한 건물들의 군집으로 향하는데 마치 그 종착역이 수직으로 거대하게 버티고 있는 세상이며, 그 속에서 모든 스 토리가 생성된다는 것을 암시하는 듯하다. 에릭 리들의 달리기 장면은 힘찬 음악과 치켜든 얼굴, 햇살과 바람에 날리는 머릿결의 슬로 장면으로 묘사되면서 그의 궁극적인 목적이 더 높은 존재를 향한 환희로 끝남을 보여 준다.
고독한 훈련의 공간과 상징적 협상의 공간 화려한 복장, 높은 천장과 고색창연한 가구들이 갖추어진 그 공간은 신앙인으로서의 한 개인의 결단,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고 싶은 상처 입은 청년의 투지가 세상의 가치관과 권위, 욕망과 대면하여 분 투를 벌이는 심리 상태를 더욱 배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특히 아카데미 의상상을 받은 작품 답게 이 영화에서의 의상은 당대 영국인들의 관습과 문화를 세밀하게 표현하고 있다. 케임브리지대 학생들의 전유물인 듯한 감색 재킷과 흰색 바지, 공중으로 날려지는 모자, 영국 올림픽조직위원장의 권력의 상징인 듯한 붉은색 행커치프와 부토니에르, 에릭의 동생 지니와 해럴드의 연인 시빌의 드레 스 색채와 형태의 대조 등은 그들의 가치관을 표현한 상징적 기호이다.
글을 쓴 조현신은 현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에서 디자인 역사와 이론을 가르치고 있다. 우리의 일상에서 친근하고 낯익은 한국 디자인 역사를 연구하고 있으며, 특히 근대기에 형성된 한국적 정서의 디자인화에 관심이 많다. 작년에 <감각과 일상의 한국 디자인문화사>를 출간했다.
※ 게재한 콘텐츠(기사)는 언론사에 기고한 개인의 저작물로 국민대학교의 견해가 아님을 안내합니다. ※ 이 기사는 별도의 저작권 요청을 통해 게재 허락을 받았습니다.
출처 : 월간 서울스포츠 | 2019년 12월호
|
이전글 | 국민대, 수능 50% 가중치 |
---|---|
다음글 | 文정부와 軍은 ‘북핵 구경꾼’인가 / 박휘락(정치대학원)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