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한경에세이] 휴가의 미학 / 남유선 (법) 교수 | |||
---|---|---|---|
베이징에서 들려오는 한국 올림픽 대표들의 승전보에 한여름 더위를 느낄 겨를도 없이 가을의 문턱에 들어서고 있다. 휴가 시즌도 막바지에 접어들어 직장인들은 휴가지에서의 들뜬 기분을 가라앉히고 업무에 복귀할 때다. 올해는 고유가와 경기침체 국면으로 해외여행을 자제하거나 아예 휴가를 포기하기도 해 우울할 수도 있었던 여름을 그나마 올림픽이 덜 슬프게 했다. 그러나 한편 생각해보면 우리의 휴가 문화는 상당히 척박하다고 할 수 있다. 1년 중 마음 편히 휴가를 쓸 수 있는 기간은 여름 한 시즌일 뿐 아니라,일주일 이상의 휴가는 많은 눈치를 보아야 하는 게 현실이다. 유럽 선진국처럼 한 달씩 휴가를 이용,멀리 떠나는 것은 우리에게는 '꿈'같은 이야기다. 그런 가운데서도 일정한 목표를 가지고 보름 정도만이라도 휴가를 쓸 수 있는 직장인이 있다면 그야말로 부러움의 대상이리라.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을 전문적으로 인터뷰했던 친구의 이야기를 기억한다. 어떤 CEO는 휴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획기적 제도를 고안,기업문화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켰다는 얘기다. 그 주인공은 본래 대기업에 근무하다가 월급쟁이 천국이 되는 회사를 꿈꾸며 현재의 회사를 설립했다고 한다. 그리고 회사설립 10년 후,설악산으로 안식휴가를 떠나 42일간 설악산에서 하루에 한 권씩 책을 읽으며 2~3시간씩 산책을 하고,인도도 다녀왔다. 그가 회사에 복귀했을 때는 경영성과가 전보다 개선됐고 이를 계기로 이 회사는 직원으로 10년,임원으로 5년 이상 근무하면 2개월간의 '유급안식휴가'를 쓰게 했다고 한다. 주5일 근무제 도입으로 우리의 여가문화에 혁명적 변화가 찾아왔다고는 하지만 사실 그 내용을 보면 여전히 아쉬운 구석이 많다. 최근 여가경영학이라는 분야가 새로운 학문으로 여겨질 만큼 '잘 쉬고 잘 노는 것' 또한 새로운 경쟁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조류가 보편적 문화로 정착되려면 조직 수장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리라.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한국의 노동시간이 가장 길지만 한국의 노동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은 창조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한 전문가의 지적이 떠오른다. 삶이 재미있어야 창조성이 발현되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적당하게 일하고 좀 더 느긋하게 쉬어라.현명한 사람은 느긋하게 인생을 보냄으로써 진정한 행복을 누리는 것이다"라는 발타자르 그라시안이 남긴 말의 의미를 곰곰이 생각해보면서 여름을 마감했으면 싶다. 원문보기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15&aid=0001995106 |
이전글 | 한국 5개 주요 집단 평가 ‘사회책임지수’ 평균 60점 / 노한균(경영) 교수 |
---|---|
다음글 | [한경에세이] 부자법칙 / 남유선 (법)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