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새집같이… 꽃잎같이… 건축, 자연과 만나다 / 장윤규(건축) 교수

“자연 자체의 형상에서 나온 구조와 형태를 발견해 조화를 이루는 것이 건축이다.”

근대 건축의 거장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는 자연과 건축이 유기적 결합을 이루는 ‘유기적 건축’을 진정한 건축이라고 제안했다.

자연에 대한 탐구는 미래 사회를 바꾸는 다양한 기술을 만들어낸다. 엉겅퀴 씨앗의 갈고리 구조를 모방해 일명 ‘찍찍이’라 부르는 벨크로 테이프를 개발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최근 연구자들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게코도마뱀, 소금쟁이, 연꽃잎 등 생물체의 기본 구조와 작동 원리를 모방해 기술을 재창조하고 있다.

인간을 모델로 하는 인간 중심적 사고에서 더 나아가 자연의 모든 생명체 원리를 탐구하는 ‘자연 모사(模寫) 테크놀로지’가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건축에서도 주름이나 카오스, 프랙털과 같은 자연 형상을 형태와 공간으로 접목하는 다양한 작업이 이뤄지는 추세다.

최근에는 다양한 신기술의 접목이 이뤄지면서 자연 생태계를 직접 모사해 자연의 속성과 인공적인 건축을 교묘하게 결합한 ‘신(新) 유기적 건축’이 주목받고 있다.

건축가 자크 헤르초크와 피에르 드 므롱이 디자인한 ‘베이징 올림픽 메인 스타디움’과 건축가그룹 PTW가 완성한 ‘베이징 아쿠아센터’는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 대표적 사례다.

베이징 올림픽 메인 스타디움은 새집의 형상을 본뜬 건축물이다. 새집을 추상적인 기하와 구조적 해석으로 변화시켰다.

새집을 이룬 나뭇가지처럼 통로가 수직과 수평, 대각선으로 교차하며 공간을 만들어낸다. 레스토랑과 바, 호텔, 상점들은 이처럼 교차되는 통로들이 이룬 복합적 공간에 들어서 있다.

올림픽 메인 스타디움 옆에 들어선 베이징 아쿠아센터 또한 자연 모사 건축을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워터 큐브’로 불리는 아쿠아센터는 비눗방울 거품이 상자 안에 갇힌 모습을 하고 있다. 2만2000개의 빔과 1만2000개의 마디를 연결해 거품이라는 자연 형상을 3차원적으로 모사했다. 물과 거품이라는 자연 현상에 추상적 이론인 기하학을 접목해 비눗방울 거품을 완벽하게 재현한 것이다.

이러한 거품 상자 형태의 워터큐브는 자연을 재현한 외형적 특징 외에 지진을 견뎌내는 구조적 안정성과 태양에너지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혁신성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태양에너지로 수영장 물을 데우고 내부 공간을 밝힘으로써 조명에 쓰이는 에너지의 55%와 온열 에너지의 30%를 절감하고 있다.

벨기에 건축가 뱅상 칼보가 제안한 가상 프로젝트 ‘릴리패드(Lilypad)’도 흥미롭게 자연을 모사했다.

이는 2100년 지구온난화로 전 세계가 물에 잠겼을 때를 가정해 만든 파라다이스 도시의 건축물이다. 절반은 수중 도시이고 절반은 육상 도시인 지구를 자유자재로 이동하며 다닐 수 있게 만들어졌다.

이 부유(浮遊)식 구조는 아마조니아 빅토리아 레기아에서 250배로 불어난 릴리패드의 잎에서 영감을 얻었다. 릴리패드는 이산화탄소와 쓰레기를 재활용해 자체적으로 산소와 전기를 만드는 친환경적인 구조로 바다 생태계에 적합한 생태적 라이프스타일을 보여준다.

장윤규 건축가·국민대 건축대학 교수

원문보기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0&aid=0002036339

이전글 [시론] 북한이 오바마를 낙관? / 안드레이랑코프(교양과정부) 교수
다음글 프랜차이즈 성공요소, 기업가 정신 필요해 / 이수동 (경영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