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기마민족의 스포츠, 격구 / 조현신(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교수 | |||
---|---|---|---|
현재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것 중 동물과 사람이 함께 경기를 하는 종목은 승마 한 종목뿐이다. 소득이 높아지면 승마 인구가 늘어나는 것이 정설이라고 하지만 한국에서 승마는 현대 정치사를 바꾸는 사건의 주역이 되기도 하고, 재벌들과 연예인들의 스포츠라는 인식에 갇혀 대중들에게는 아직 먼 종목이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집콕’이 장기화되는 지금, 평원을 달리는 스포츠의 흔적을 찾아보는 것도 답답한 가슴을 조금은 풀리게 할 듯하다.
이여성의 <격구도> 무용총 <수렵도>
한국에서는 중국 길림성에 있는 고구려의 옛 무덤, 무용총의 〈수렵 서 경기를 하는, 기마민족의 기량이 그림 속에 넘친다. 도〉에서 마상 스포츠의 뚜렷한 흔적을 볼 수 있다. 말에 올라탄 네 명의 인물이 평야를 누비며, 울리는 화살인 명적을 사용해 군사 훈련을 하는 장면이다. 털, 날카로운 발톱과 이빨, 날개도 없는 작고 힘없는 인간이 말과 도구와 지능을 발휘하여 사슴과 호랑이몰이를 하면서 기량을 닦고 있다. 이들은 멋진 의복을 입고 깃털 달린 관을 써서 동물들과는 구분되는 문명의 힘을 보이는데, 뒤쪽에 더 큰 술을 달고 가만히 앉아 있는 사람은 교관인 듯하다. 사슴은 멋진 뿔을 지닌 튼실하고 큰 모습으로, 호랑이는 개만큼의 크기로 그려 그 힘과 용맹을 축소시킨 주술적 심성을 보여준다. 산 위로 크게 솟은 삼엽초의 위용 또한 대단하다.
곤궁을 잊게 한 호쾌한 즐거움
왕들이 사랑한 스포츠 조선의 태조 역시 격구를 사랑했으며, 제2대 임금 정종은 격구에 대해 “내가 무관 집에서 자랐기 때문에 산을 타고 물가에서 자며 말을 달리는 것이 습관이 되었으므로, 오래 들어앉아서 나가지 않으면 반드시 병이 생길 것이다. 그래서 격구 놀이를 하여 기운과 몸을 기르는 것이다”라면서 즐겼다고 한다. 또한 세종도 격구를 사랑하여 즐겼는데 신하들이 그 사치성을 이유로 금지하자는 의견에 “격구는 본시 무예를 연습하기 위함이요, 노는 것이 아니다. 무예를 연습하는 데는 이보다 나은 것이 없다”며 격구를 무관의 시험 과목으로 지정하였다고 한다. 이후 총포가 들어오고, 성리학이 성행하면서 격구는 서서히 자취를 감추게 되었고, 정조 때 제작된 <무예도보통지>에서 격구를 하는 선수들의 모습을 복원하는 정도였다고 한다. 말이 비단 남성만의 전유물만은 아니었다. 세종 때에는 부녀자들까지 격구를 심하게 하여 조정 신하들의 원성 때문에 이를 금지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김홍도나 신윤복이 여성의 승마를 그린 그림이 많다. 단원 김홍도의 황해도 안능 지역의 현감 부임 환영 행렬을 그린 〈안능신영도〉에는 행렬하는 사람들 중에 승마바지인 ‘말군’을 입은 여성이 그려져 있다. 말군(襪裙)은 여성들이 말을 탈 때 입어 치마가 드러나지 않게 하기 위해 치마 위에 입었던 겉옷으로, 통이 넓고 뒤가 트인 일종의 승마바지이다. 〈악학궤범〉에 여성을 위한 승마복 말군이 그려져 있을 정도로 말은 친숙한 탈 거리이자 놀이의 대상이기도 했다. 일제 강점기 화가 이여성은 〈격구도〉에서 강한 기세의 조선인의 혼을 표현하였다. 먼지를 일으키면서 철릭을 입고 채를 두르면한국에서는 중국 길림성에 있는 고구려의 옛 무덤, 무용총의 〈수렵 서 경기를 하는, 기마민족의 기량이 그림 속에 넘친다.
복원된 격구의 모습
발해 정효공주 능의 벽화
김홍도의 <안릉신영도> 악학궤범 속의 말군
평원을 달리는 상상
글을 쓴 조현신은 현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에서 디자인 역사와 이론을 가르치고 있다. 우리의 일상에서 친근하고 낯익은 한국 디자인 역사를 연구하고 있으며, 특히 근대기에 형성된 한국적 정서의 디자인화에 관심이 많다. 2018년 『일상과 감각의 한국디자인 문화를 출간했다.
※ 게재한 콘텐츠(기사)는 언론사에 기고한 개인의 저작물로 국민대학교의 견해가 아님을 안내합니다. |
이전글 | 바이든 정부와의 한미동맹 준비되고 있나? / 박휘락(정치대학원) 교수 |
---|---|
다음글 | [시론] 공수처 아닌 ‘空秋處’의 운명 / 이호선(법학부)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