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취업전쟁, '전화기'와 붙어도 할만해요 / 건축학부 ‘동문 파워’ | |||
---|---|---|---|
취업률 높은 대학 학과 비법 상명대 경영학과 '열성 교수' 학생에 직접 입사 유도 나서 명문대가 아니고, 취업이 잘되는 ‘전·화·기(전자·화학·기계공학과)’도 아닌데 이들 못지않게 취업이 잘되는 학과가 있다. 취업률이 높아지자 우수한 학생이 알아서 들어와 인기 학과로 부상하는 선순환도 이뤄지고 있다. 바로 상명대 경영학과, 국민대 건축학부, 한국외국어대 말레이인도네시아어과 얘기다. 이들 학과가 높은 취업률을 달성한 비결에는 제자의 취업을 위해 발벗고 뛰어다니는 교수와 동문의 촘촘한 네트워크, 그리고 대학의 전방위 지원 등 ‘3박자 공조’가 있었다. 국민대 건축학부 ‘동문 파워’ 취업률이 높은 학과의 또 다른 특징은 ‘동문 네트워크의 힘’이다. 2012년 국민대 건축학부 졸업생의 취업률은 82.4%로 전국 대학 건축학과 가운데 최고였다. 이듬해엔 국내 건설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75.9%로 선방했고, 지난해에도 77.8%의 비교적 높은 취업률을 보였다. 이 대학 교수들은 건축설계사무소 최고경영자(CEO) 초청특강을 취업 네트워크의 장으로 만들었다. CEO들은 최신 건축설계 트렌드를 소개하고, 학생들은 실무자에게 자신의 건축설계 작품을 평가받는 식이다. 2000여명에 달하는 동문의 힘도 큰 도움이 됐다. 학교는 실력 있는 선배 건축가를 초청해 후배와 함께 ‘건축가의 길’에 대해 밤샘토론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디자인과 설계에 강점을 지닌 학교 특성상 학생들에게 중견 건축사무소 입사를 적극 권했다. 대기업·공기업 입사와 유학을 원하는 학생을 위해선 별도의 담당교수가 지도하며 건축교육도 하고 있다. 국민대 건축학부는 반드시 취업멘토교수를 통해 입사지원서를 작성하는 원칙도 있다. 이런 교통정리는 특정 회사에 학생이 몰리지 않아 취업률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낳았다. 상명대 취업센터는 취업프로그램을 짤 때도 담당교수와 논의할 정도다. 봉일범 국민대 건축학부 교수는 “교수와 학생 관계가 아니라 인생 선배로서 학생들의 앞날을 함께 고민하는 인간적인 관계가 결과적으로 높은 취업률로 나타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원문보기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51196461 |
이전글 | 국민대, 제10회 고교생 길거리 농구대회 개최 |
---|---|
다음글 | SW만 잘해도 대학간다. 국민대, 숭실대, 아주대 등 SW 전문역량 갖춘 학생 선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