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중앙일보] 디자인은 디테일이다/송봉규(공업디자인과 98) 동문 | |||||||||||
---|---|---|---|---|---|---|---|---|---|---|---|
그 성장과 활약을 죽 지켜보고 싶은 디자이너를 찾는다면 이들의 이름을 기억해 두라. SWBK, 산업 디자인에 기반한 브랜드 컨설팅사다. 이석우(34)·송봉규(33) 공동대표가 운영하는 직원 9명 규모의 이 작은 회사는 법인설립 1년 만에 적지 않은 프로젝트를 성사시켰다. 디테일에 신(神)이 있다 탁자의 결은 부드러웠고, 의자의 선은 간결했다. 오래된 나무는 단단했고, 거기 담긴 10여 년 시간은 묵직했다. ‘매터&매터’, 디자인의 근본을 소재·물질에 두고 있다는 이름이다. 인도네시아의 오래된 집, 고기잡이 배 등을 해체·재공정해 만든 수작업 가구다.“시간과 공은 더 많이 들어요. 폐목을 뜯어 거기 박혀 있는 경첩이나 못을 제거하고 구멍 안 난 부분을 골라서 다듬어야 하니까요”(송봉규). 대표작은 ‘레그 체어(Leg Chair)’. 개당 30만원 정도로 다소 부담스런 가격이지만 알음알음으로 찾는 이들이 많다. 국내 한 가구회사가 베껴 논란이 일기도 했다. 그만큼 이들의 디자인을 탐내는 이들이 많다는 반증이다. 이들의 ‘작품’은 서울 시내 곳곳의 전시장에서 만날 수 있다. 서울역 284(옛 서울역사)와 신림동 서울대미술관에서 옛 서울역사의 폐목으로 만든 가구를 선보이고 있다. “서울역 자체가 살아있는 역사쟎아요. 내다 버릴 나무가 벤치나 테이블, 혹은 서울역의 모형 조각으로 남는 거죠.” 압권은 이들이 연출한 소격동 학고재의 ‘설화문화전-흙, 숨쉬다, 옹기’다. 전남 여수 김정길 옹기장의 작품 앞에 서면 센서가 작동되며 여수 앞바다 영상과 함께 파도 소리가 들린다. 허진규 옹기장의 물두멍(물을 저장하는 큰 그릇) 앞에선 고인 물에 빗방울이 떨어지며 만드는 파문을 보고 들을 수 있다. “사람들에게 어떤 경험과 가치를 제공할지를 고민한다”는 SWBK의 철학이 담겼다. “작업할 때 물고 늘어지는 스타일이에요. 죽을 때까지, 될 때까지 하는 거죠. ”(이석우) “남들이 안 보는 것도 신경 써요. ‘설화문화전’ 도록을 만들 때 20∼30컷의 사진을 고르기 위해 1만장을 찍었어요.”(송) 때문에 이들에게 디자인은 곧 디테일이다. “건축가 르코르뷔지에가 그랬어요. ‘디테일(detail) 속에 신이 있다’고. 작고 숨겨진 것에 철학이 담겼다는 얘기죠.”(이) “싼 가구들 보면 보이는 데만 비싼 소재 쓰고 뒤집어 보면 엉망이죠. 좋은 디자인은 앞뒤 없이 완벽을 추구합니다.”(송)
디자인계 ‘엄친아’ 이들은 당장 내년에 좀더 저렴하게 대중들과 만날 수 있는 가구 브랜드를 내놓을 예정이다. 원문보기 : 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aid/2012/10/30/9349461.html?cloc=olink|article|default 출처 : 중앙일보 기사보도 2012.10.30 00:57
|
이전글 | [노컷뉴스] 숲은 지구상에서 가장 큰 '병원'/전영우(산림환경시스템학과) 교수 |
---|---|
다음글 | [디지털타임스] "시론" 글로벌 IT마인드 심어주자/김현수(경영학전공) 교수 |